안녕하세요 해커스 그래머게이트웨이 입니다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 내 코로나19 재확산이 공급망 위기를 가져왔습니다.

미국의 기관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문제점으로 스태그플레이션을 뽑았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스태그플레이션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해요

 

 

스태그프레이션(Stagflation) 불경기(stagnation) 인플레이션(inflation) 합성어입니다.

경기가 침체되는 상황에서도 물가는 오히려 상승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최대 경계하는 사태이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주요 원인은 환율 변동과 유가 대변동으로 인해 발생했었는데요

이에대한 사례는 1970년대 오일쇼크를 꼽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반대로 경제가 호황이면서 물가도 안정되어 있는 상태는 뭐라고 부를까요?

바로 골디락스 경제라고 부릅니다.

 

 

골디락스 경제경기 침체가 우려될만큼 나쁘지도 않고,

경제가 성장지만 물가 상승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 때 경제가 호황일 때가 아니라

왜 적당한 상황을 더 좋다고 보는 걸까요?

 

 

바로 경제 호황에는 물가가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경제가 좋아지면 소비심리가 늘어나 수요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그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물가도 오르게 됩니다.

 

따라서 경기가 과하게 좋아도, 경기가 침체되어도

한쪽으로 편향된 상태는 경제성장이 둔화되기 때문에

적당한 경제성장과 물가상승이 가장 이상적인 상태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스태그플레이션 왜 자꾸 언급이 되는걸까요?

바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서방 국가의 제제로 인해

원유, 원자재, 곡물 등 수출에 차질이 생겨

물가가 급격하게 치솟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략으로 인해

물가가 급등세가 더 확대 되었고

세계 경제 성장 기대치도 크게 위축되었다고 합니다.  

 

 

 

미국은 물가 안정을 위해 20221월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인상하겠다고 했지만 전쟁의 여파로 인해 채권시장 유동성 문제가 발생해

이 또한 제동이 걸렸습니다.

 

인플레이션 상황이 뚜렷해지면서 각 나라의 중앙은행은

대처방안을 모색했습니다.

 

노르웨이, 체코, 멕시코, 콜롬비아, 칠레 등

경제 신흥국은 모두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긴축에 나섰습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지난달 채권매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테이퍼링을 시작했다고 해요.

 

이처럼 각 나라마다 다른 방식을 취하는 이유는 팬데믹 이후

경제대응이 어려워졌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통상적으로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중앙은행에서 기준금리를 높여

기업과 가계의 투자, 지출을 억제하는 방식을 취하는데요,

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 이러한 방식은

오히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수 있어 위험하다고 합니다.

 

오늘은 스태그플레이션 뜻과

대응방안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경제상황은 여러 요인들이 복잡하게 얽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대처가 어렵다는 것을 깨닫게 된 것 같네요.

 

빨리 전쟁이 끝나고 평화가 찾아왔으면 합니다.

 

지금 해커스 그래머 게이트웨이에서

기초영문법을 0원으로 

공부할 수 있는 이벤트를 진행 중입니다.

 

어려운 영어공부를 쉽게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

놓치지 말고 ▼아래 링크▼를 눌러 참여하세요!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